PracticeEveryday

git switch/ restore 본문

Git

git switch/ restore

kimddakki 2022. 7. 11. 21:21
git restore README.md​
git switch / restore restore 복원하다
checkout : Switch branches or restore working tree files
switch : Switch branches
restore : Restore working tree friles
git switch

 - switch는 말 그대로 checkout 에서 브랜치를 변경하는 부분만 담당한다.

 - 이전에는 git checkout Branch_Name 으로 변경하였지만 이젠 Switch로 변경한다.

  => 명령어만 달라졌고 사용 방법은 같다.

git switch develop
'develop' 브랜치로 전환합니다
브랜치가 'upstream/develop'에 맞게 업데이트된 상태입니다

 - 브랜치를 생성하면서 변경까지 하는 명령어도 -c 옵션으로 사용할 수 있다.

git switch -c new-branch === git checkout -b new-branch

 - 브랜치를 어디에 만들지는 지정하지 않았으므로 HEAD가 사용되는 데 특정 브랜치나 커밋에서 새로운 브랜치를 

   만들고 싶으면 브랜치 이름 뒤에 커밋을 지정해주면 된다.

git switch -c new-branch2 515c633a
새로 만든 'new-branch2' 브랜치로 전환합니다
git restore

 - restore는 워킹 트리 파일을 복원해 주는 역할을 한다.

 

 - 파일 수정 내용 ( README.md 를 수정했다고 하면 )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git checkout -- README.md처럼 사용했는데

   이제는 restore로 사용할 수 있다.

git restore README.md

 

 - git add를 통해 수정 내용을 stage에 이미 넣었을 때 이를 다시 빼기 위해서는 git reset HEAD README.md 대신

   restore를 사용할 수 있다. 수정 사항을 빼고 조작할 때 모두 restore로 통일되어 사용할 수 있다.

git restore --staged README.md

 

 

새 버전에 맞게 git checkout 대신 switch/restore 사용하기 :: Outsider's Dev Story

Git에 어느 정도 익숙하기에 새로운 기능이 나와도 일일이 테스트해보거나 자세히 확인해 보지 않았다. 얼마 전에 [Git 2.23](https://github.blog/2019-08-16-highlights-from-git-2-23/)에서 `checkout`을 대신...

blog.outsider.ne.kr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HEAD  (0) 2022.07.11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