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9. 프로토콜 Protocol 프로토콜, 통신 규약, 외교 의례, 의전
복습 : OSI 참조 모델이란 ' 단계와 순서의 설계도 '에 따라 7개의 계층을 순서대로 실시해서 데이터 통신이 실행되는 것
7개의 계층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는 캡슐화되어 데이터 통신이 되는 것!
- 프로토콜
- 데이터 통신을 위한 규칙 : 데이터 사용이라던지 데이터 송수신 순거 같은 것을 정하는 것!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프로토콜은 한개가 아니라 복수의 프로토콜로 이루어 진다.
OSI 참조 모델의 계층마다 각 계층의 역할을 하는 프로토콜이 존재하는 것이다.
9-1 프로토콜의 인터페이스
- 계층의 독립성이 유지되지만 너무 독립적이어서 상하 계층이 연결이 되지 않는다면 곤란해진다.
상위 계층 프로토콜이 하위 계층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하위 계층 프로토콜이 상위 계층 프로토콜
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다.
- 인터페이스는 ' 중개역 '이라는 의미로 케이블과 컴퓨터의 중개역할도 하지만
프로토콜과 프로토콜 사이의 중개역을 가리키는 경우도 인터페이스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9-2 프로토콜 군 Prototcol Suite 스위트룸
- 상하 프로토콜에서 인터페이스를 결정해두게 되면 7계층에서 1계층까지 연결된 하나의 프로토콜 그룹이 생긴다.
이것을 프로토콜 군이라고 부르는데 기본적으로는 어느 프로토콜군을 사용하는 지에 따라 7계층에서 1계층까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정해지는 것이다!
=> 사용하는 프로토콜 그룹으로써 계층마다 아무 프로토콜을 사용 하는 것이 아니라 같은 프로토콜 군 중에서
계층마다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정해진다는 것임
==> 데이터 통신은 같은 프로토콜 군을 사용하는 컴퓨터나 기기끼리만 가능하다!
9-3 프로토콜이 결정하는 것
1. 프로토콜은 데이터 통신 규칙으로 데이터 사용 방법
Ex ) 보내는 쪽은 00001 이 1 근데 받는 쪽은 10000이 1 이럼 동일한 프로토콜이 아니기 때문에 소통이 안됨..
2. 어떤 헤더를 붙일지 결정하는 것
==> 프로토콜에는 그 프로토콜이 있는 계층의 역할에 따른 기능이 있고 또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정보로서 헤더를
붙인다. 이 헤더의 내용은 프로토콜로 정해져 있다.
3. 데이터를 주고 받는 순서도
Ex ) A라는 데이터를 보내면 받은 쪽에서는 B라는 데이터를 보낸다는 식
인사 프로토콜 잘지내세요? ===> 덕분에요 답변
프로토콜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순서와 내용을 결정한다.
이를 통해 현재 상태 전달, 에러 수정, 사용 설정을 위한 협의 등을 한다.
ex)
A: 데이터를 보내도 될까요?
B: 네, 보내세요.
A: 첫 번째 데이터를 보냅니다.
B: 받았습니다. 다음 데이터를 보내세요.
. . .
A: 더 이상 없습니다. 끝내겠습니다.
B: 네, 수고하셨습니다.
4. 에러의 수정이나 사용 설정을 위한 협의
※ 데이터의 내용을 결정, 헤더를 결정, 송수신 순서를 결정하는 것!! 프로토콜!!
데이터 통신을 하는 컴퓨터와 기기는 동일한 프로토콜군을 사용해야만한다.
최초로 프로토콜군을 통일하기 위해 시도한 것이 ISO인데 OSI참조 모델에 따라 몇 개의 프로토콜을 제정했지만 실패했다.
이 OSI참조 모델을 대신해 가장 많이 사용 되는 프로토콜군이 TCP / IP 프로토콜군이다.
사실표준!! '표준'은 제정된 규격이지만 컴퓨터 기기중 TCP / IP 프로토콜군을 사용하는 기기가 압도적으로많아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상태
계층마다 존재하는 프로토콜 그룹을 프로토콜군이라고 한다.
프로토콜은 '데이터의 내용을 결정'하고, '헤더를 결정'하고, '송수신 순서'를 결정한다.
사실 표준으로써 'TCP / IP' 프로토콜군이 사용된다.
10. TCP / IP 모델
복습 : 인터넷에 사용되는 프로토콜로써 사실상의 표준인 TCP / IP 모델
- TCP/ IP 프로토콜군은 IETF ( The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 라는 단체에서 제정했다.
여기에서 제정한 문서는 RFC ( Request For Commnets )라는 것인데 이게 규칙이 된다.
- TCP/ IP 모델의 '단계와 순서의 설계도'에 따라 TCP / IP 프로토콜군이 만들어 진다!
4계층
|
애플리케이션 계층
|
3계층
|
트랜스포트 계층
|
2계층
|
인터넷 계층
|
1계층
|
인터페이스 계층
|
4계층
|
애플리케이션계층
|
HTTP (홈페이지 열람), FTP (파일 전송), SMTP (전자 메일), ...
|
3계층
|
트랜스포트계층
|
TCP, UDP
|
2계층
|
인터넷계층
|
IP, ARP
|
1계층
|
인터페이스계층
|
이더넷, 프레임 릴레이, PPP ...
|
- 프로토콜군의 핵심적인 존재로 사용되는 TCP와 IP라는 2개의 프로토콜에서 프로토콜군 이름이 지어졌다.
정리
네트워크 : 무언가와 무언가가 무언가에 의해 무언가를 운반한다.
네트워크의 장점 : 네트워크를 통해 리소스를 공유하고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구조에 따른 분류
1. 멀티액세스 네트워크
2. 포인트 투 포인트 네트워크
이 두가지를 조합하여 네트워크가 구성된다
회선 교환, 패킷 교환
회선을 바꾸어 연결하는 회선 교환
데이터를 한번에 보내지 않고 쪼개어 조금씩 전달하는 패킷 교환
네트워크 범위와 규모에 따른 분류
1. LAN ( Local Area Network ) => 구내, 비교적 자유로움, 책임지고 자신이 만듬
2. WAN ( Wide Area Network ) => LAN + LAN 사유지나 공공도로 같은 경우 통신 사업자 케이블을 사용해 연결
프로토콜
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규칙이다.
계층마다 그 역할을 하는 프로토콜이 있다.
특정 모델에 해당하는 복수의 프로토콜을 프로토콜군이라고 부른다.
OSI 참조 모델 , TCP / IP 모델
캡슐화
각 계층에서 상위 계층에서 오는 데이터에 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정보를 추가한다.
추가되는 제어정보는 프로토콜로 결정된다.
하루 3분 네트워크 교실
하루 3분이면 OK! 네트워크 왕초보 넷군에게 인터넷 박사가 알려주는 세상에서 가장 쉬운 네트워크 수업! 어려운 용어와 개념이라는 장벽에 초보자는 쉽게 접근하지 못하는 네트워크. 이 책은 네
book.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