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acticeEveryday

1바이트 === 8비트 + Parity Bit 본문

정리/Question

1바이트 === 8비트 + Parity Bit

kimddakki 2022. 5. 16. 17:43
바이트 도입 배경

 - 컴퓨터는 미국에서 주로 발전한 기계인데 처음 컴퓨터를 통해 문자를 나타내기 위한 규약인 

 - ASCII (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도 알파벳을 포함한 미국에서 사용하기 위한 문자들을

   표현하기 위해 만든 것이었다. 

   이 때 ASCII의 총 문자수가 공백을 포함하여 128자였기 때문에 7bit만으로 모든 문자를 표현하는 것이 가능 했다.

 - 7비트를 바이너리로 표현하면 111 1111 이므로 2^7이 되어 128자를 표현할 수 있었다. 

   여기에 오류 검출을 위한 패리티 비트 (Parity bit) 1개를 추가하여 8비트를 최소 연산 단위인 바이트로 정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Parity: 다른 나라의 통화(通貨)와의 비율. Bit 페리티 비트

 - 패리티 비트란 오류를 검출하기 위해 자료에 추가한 0또는 1 한 자리 숫자이다.

 - 내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전달되는 자료는 컴퓨터에 연결된 전선을 타고 전기 신호로 전달 된다.

 - 전달된 전기 신호들은 이진수로 표현 되는데 전달받은 자료에 오류가 생겼는지 확인하기 위해 이진수 자료와 정보

   맨 끝에 0 또는 1의 패리티 비트를 붙여 보낸다.

 

패리티 비트를 붙이는 방법

 - 1의 개수를 짝수로 만들기 >> 1의 개수가 짝수이면 0, 홀수면 1을 붙인다.

0110101 ==> 01101010

0110100 ==> 01101001

 

- 1이 하나도 없으면 0을 붙인다.

0000000 ==> 00000000

 

// 전달 받은 자료의 1의 개수가 홀수개이면 전달 받은 자료가 전달 과정에서 오류가 생긴 것 같으니 다시 보내줘

   라고 요청 할 수 있다!!


 

 

1바이트가 8비트인 이유 (The reason why 1Byte equals to 8bit)

진공관에서부터 시작된 이진(binary)의 역사 최초의 컴퓨터라고 불리는 에니악(ENIAC)이 개발되었을 때에는 진공관을 이용하여 0과 1을 표현하였고, 각 진공관을 연결하는 전선들의 배열을 바꿔주

devbull.xyz

 

'정리 > Ques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Method vs Function  (0) 2022.05.19
수학의 함수와 프로그래밍의 함수  (0) 2022.05.19
컴퓨터는 왜 2진수를 쓸까  (0) 2022.05.16
웹 브라우저의 동작 원리  (0) 2022.05.16
JavaScript 엔진 구조  (0) 2022.05.16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