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34)
PracticeEveryday

유사 배열 vs 배열 - JavaScript의 유사 객체 배열은 배열처럼 보이지만 사실 key가 숫자이고 length 값을 가지고 있는 객체를 의미한다. // 유사 배열 const similarArray = { 0: "zero", 1: "one", 2: "two", length: 3, }; console.log(similarArray); // { '0': 'zero', '1': 'one', '2': 'two', '3': 'three', length: 3 } console.log(similarArray.length); // 3 // 배열 const arrr = [1, 2, 3]; console.log(arr); // [1, 2, 3] console.log(arr.length); // 3 - 배열같이 생겼지..

Iterable 객체 Iterable : 반복 가능한 - 반복가능한 객체는 배열을 일반화한 객체입니다. 이터러블이라는 개념을 사용하면 어떤 객체든 for ... of 반복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배열은 대표적인 이터러블입니다. 배열 외에도 다수의 내장 객체가 반복이 가능하며 문자열 역시 이터러블의 예입니다. - 배열이 아닌 객체가 있는데 이 객체가 어떤 것들의 컬렉션 ( 목록, 집합 등 )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for... of 문법을 적용한 다면 컬렉션을 순회하는 데 유용할 것입니다. Symbol.iterator - for ... of 를 적용하기에 적합해 보이는 배열이 아닌 객체를 만들어보자 let range = { from: 1, to: 5, }; 목표 for ( let num of range )..

해시 테이블? - 해시 테이블이란 어떤 특정 값을 입력 받으면 그 값을 해시 함수에 통과 시켜 나온 값을 인덱스 ( Index )에 저장하는 자료 구조이다. 1. 직접 주소 테이블 ( Direct Address Table ) - 해시 테이블의 아이디어는 직접 주소 테이블이라는 자료 구조에서부터 시작되는 데 직접 주소 테이블은 입력 받은 value가 곧 key가 되는 데이터 매핑 방식이다. class DirectAddressTable { constructor() { this.table = []; } setValue(value = -1) { this.table[value] = value; } getValue(value = -1) { return this.table[value]; } getTable() { r..

Internet vs WWW - 인터넷 !== WWW 인터넷 => TCP / IP 기반의 네트워크가 세계적으로 확대되어 연결된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웹 => 웹은 HTML이라는 문서 형태와 HTTP라는 문저 전송 프로토콜, URL로 문서의 위치를 표시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멀리 떨어진 사람에게 문서를 주고 받기 위해 만들어 졌다. ※ 웹보다 인터넷이 더 광범위한 범주이며, 인터넷으로 여러 기능들을 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소통하는 것이 웹이다! 웹과 인터넷의 차이 웹과 인터넷의 차이 인터넷은 웹( WWW = World Wide Web )이 아닙니다. 인터넷 TCP/IP 기반의 네트워크가 세계적으로 확대되어 연결된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를..

OSI 참조 모델 Open System interconnection 개방형 상호 연결 시스템 - 두 개의 시스템이 통신하기 위해 일련의 절차를 7단계로 나누었다. 편지를 보내자 1. 편지지를 사고 편지 위에 글씨를 쓴다. ( Application Layer ) - 편지지 === Application ===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요청 할 때 사용되는 플랫폼 - 사용자가 특정 Application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입력하고 가공한다. 2. 편지지 내용 : One Two Three Four + 사진 ( Presentation Layer ) -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법, 암호화, 압축 ( Encoding, Encryption, Compress )하는 곳! - 편지를 받은 사람이 사진인지 모르고 동영상인가? ..

23. 서브네팅 복습 : IP 주소는 클래스에 따라 네트워크 번호와 호스트 번호로 구성되어 있고 조직의 규모에 따라 네트워크 번호의 비트 수가 결정된다. - 클래스 A의 경우 호스트 번호의 비트 수가 24 비트이므로 16,772,214대 호스트를 소유할 수 있다. 이 주소를 1부터 ~~ 매기면 3478번 호스트를 찾는 데 어려움이 있다. => IP는 계층형이다!! ==> 커다란 네트워크 몇 개를 맻 개의 네트워크로 작게 분할하는 형식! ※ 서브 네트워크 - 계층형 IP의 특성으로 분할된 작은 네트워크를 말한다. 작은 네트워크가 서브 네트워크로 큰 네트워크를 작게 분할해서 쉽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 IP 주소는 32비트로 고정되어 있기에 호스트 번호의 비트를 서브넷 번호와 호스트 번호로 분할 한다. ..

19. 3계층의 역할과 개요 복습 : 1계층은 '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상대에 대한 신호 전달. 2계층은 ' 신호 송수신이 가능한 ' 상태에서 ' 세그먼트 내에서 어떻게 데이터를 주고 받는지' 에 대한 것 ※ 신호를 운반하는 것이 1계층의 역할이고 신호가 운반된다는 전제 하에 컴퓨터나 기기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2계층 이상 세그먼트 : 라우터와 라우터간의 범위 - 세그먼트 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하는 것이 2계층의 역할 > 세그먼트 내에서 컴퓨터 끼리의 데이터 통신 3계층? 3계층에서의 세그먼트는 네트워크라고 부른다. => 세그먼트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하는 것!! 패킷 교환기인 라우터를 지나서 다른 세그먼트로 데이터를 보낸다.!! ● 인터넷 작업 - 네트워크란 '컴퓨터의 그룹'이고 2계층 까지의 ..

14. 2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의 역할과 개요 복습 : 1계층은 '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기기에 대한 신호 전달' 을 수행하는 계층으로써 실제 ' 데이터 전달 '을 담당 1계층이 비트를 신호화애허 케이블에 보내고, 케이블에 연결되어 있는 상대에게 신호가 도달하면 그 신호를 다시 비트화해 ' 상대에게 데이터가 도달 '하는 것이다. ● 2개층의 개요 - 충돌을 막기 위해서는 신호의 송신 전, 후 바르게 데이터를 송 수신하는 순서가 필요하다. - 2계층에서는 세그먼트 ( Segment 신호가 닿는 범위 ) 범위에서 데이터 전송에 관한 규정을 정해주는 것이다. => 멀티 액세스 네트워크 : 허브로 연결되어 있는 기기 전체 => 포인트 투 포인트 네트워크 : 연결되어 있는 두 대 ● 프레이밍과 신호의 동기..

11 . 1계층 ( 물리 계층 : 전기, 기계적인 부분의 전송을 실시한다. ) 의 역할과 개요 - 송신측의 데이터는 파이프를 지나서 수신처에 도착한다. 파이프는 통신 매체로써 1계층은 통신 매체에 데이터를 보내는 것과 그 데이터가 지나는 것에 대한 순서와 규칙이다. 통신 매란 케이블을 말하는 데, 이 케이블에 대한 규칙도 1계층에 정해져 있다. - 데이터는 신호의 형태로 케이블을 지나간다. ( 컴퓨터 같은 기기끼리 연결하는 ' 케이블 ' + 데이터인 ' 신호 ' ) =>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기기에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 1계층의 역할이다!! => 1계층의 역할을 통해서 수신처에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 2계층 부터 상위 계층은 '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어떤 것을 할지 ', ' 데이터가 도달한..

9. 프로토콜 Protocol 프로토콜, 통신 규약, 외교 의례, 의전 복습 : OSI 참조 모델이란 ' 단계와 순서의 설계도 '에 따라 7개의 계층을 순서대로 실시해서 데이터 통신이 실행되는 것 7개의 계층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는 캡슐화되어 데이터 통신이 되는 것! - 프로토콜 - 데이터 통신을 위한 규칙 : 데이터 사용이라던지 데이터 송수신 순거 같은 것을 정하는 것!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프로토콜은 한개가 아니라 복수의 프로토콜로 이루어 진다. OSI 참조 모델의 계층마다 각 계층의 역할을 하는 프로토콜이 존재하는 것이다. 9-1 프로토콜의 인터페이스 - 계층의 독립성이 유지되지만 너무 독립적이어서 상하 계층이 연결이 되지 않는다면 곤란해진다. 상위 계층 프로토콜이 하위 계층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